바쁘게 살아가다보니
잠깐 고개를 들어 올려 하늘을 바라본게 언제인지 기억이 안납니다.
하늘은 시간과 날씨에 따라 다양한 색을 보여줍니다.
낮에는 맑고 푸르지만, 해 질 무렵에는 붉고 주황빛으로 물들죠.
왜 하늘은 파랗고, 노을은 붉게 보이는 걸까요?
1. 빛의 산란과 하늘의 푸른색
태양빛은 여러 가지 색깔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빨, 주, 노, 초, 파, 남, 보 처럼 말이지요.
그리고 각 색의 파장은 다릅니다.
파장은 빛이나 소리 같은 파동에서 한 번 진동하는 동안 이동하는 거리를 말합니다.
파장이 길다는 것은 물결이 넓게 퍼지는 것처럼 느리게 진동한다는 뜻입니다.
파장이 짧다는 것은 물결이 촘촘하게 퍼지는 것처럼 빠르게 진동한다는 뜻이죠
지구의 대기 중 공기 분자는 태양빛을 산란시키는데,
이 과정에서 짧은 파장을 가진 파란색과 보라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됩니다.
빛이나 입자가 공기, 물, 먼지 같은 물질에 부딪혀 다른 방향으로 퍼지는 형상이 산란입니다.
이때, 인간의 눈은 보라색보다 파란색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하늘이 푸르게 보입니다.
2. 태양의 위치와 노을의 붉은색
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있을 때 즉, 일출과 일몰때
빛은 더 두꺼운 대기를 통과해야 합니다.
태양이 하늘 높이 있을 때(낮 12시쯤)는 빛이 대기의 짧은 거리만 통화하면 지구에 도달합니다.
하지만 일출이나 일몰 때 태양 빛은 지평선 가까운 낮은 각도에서 지구로 들어오기 때문에
훨씬 두꺼운(긴 거리의)대기를 지나가야 합니다.
수영장에서 위에서 보면 물이 맑아 보이는데
옆에서 보면 뿌옇게 보이는 것과 같습니다.
이 과정에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 빛은 대부분 산란되어 사라지고,
상대적으로 파장이 긴 빨간색과 주황색 빛이 남아 지표면에 도달합니다.
그래서 노을이 붉게 보입니다.
3. 대기 상태에 따른 색 변화
대기 중에 수증기나 먼지, 오염 물질이 많을 경우,
산란 현상이 더욱 복잡해져 노을의 색이 더욱 강렬해질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붉은빛이 더욱 두드러지고,
맑은 날에는 노을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색을 띠게 됩니다.
하늘의 색 변화에도 과학적인 원리가 있습니다.
빛의 산란과 태양의 위치, 그리고 대기의 상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
푸른 하늘과 아름다운 노을을 보게 됩니다.
오늘 한번 보시죠.
'curiosity >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전기 생기는 이유! 없애는 법! (0) | 2025.04.03 |
---|---|
냉장고 안에서 음식이 마르는 이유 (0) | 2025.03.22 |
중력이 없으면 우리몸은 어떻게 될까 (0) | 2025.03.20 |
무지개는 왜 7가지 색일까? (0) | 2025.03.19 |
무게가 없는 빛는 어떻게 속도를 가질까 (0) | 2025.03.19 |